🧠 ADHD는 상상력의 천재일까?
(feat.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창의성과 집중력의 관계)
🔹 서론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흔히 ‘산만하다’, ‘집중을 못 한다’는 이미지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뇌과학과 인지과학의 발전은 우리가 알던 ADHD의 이미지를 바꾸고 있습니다.
특히 “ADHD는 상상력의 천재일까?”라는 물음은 많은 연구자와 부모들에게 흥미로운 논쟁을 일으키고 있죠.
🔹 ADHD의 역사와 뇌과학적 전환점
ADHD라는 용어는 1902년 영국 소아과 의사 조지 프레더릭 스틸이 ‘도덕적 통제 결핍’이라는 개념으로 처음 제안했습니다. 이후 DSM(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서는 ADHD를 점점 더 명확히 정의하며 현재는 ‘주의력 부족형’, ‘과잉행동-충동형’, ‘혼합형’으로 나뉘어 진단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진단 체계를 넘어, 최근 뇌영상 연구들은 ADHD 아동의 전두엽과 기본모드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의 과활성, 그리고 도파민 전달 체계의 비정상성을 밝혀내며 ADHD를 ‘기능적 뇌 차이’로 이해하게 만들었습니다.
🔹 집중력 부족인가, 창의적 연결인가?
하버드, MIT, King's College London 등에서 진행된 연구들에 따르면, ADHD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DMN이 과활성화되어 있어 ‘하나에 집중하기보다는 다양한 생각이 동시에 떠오르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러한 뇌 연결성의 특징은 ‘집중력 결핍’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또 다른 시각에서는 ‘창의성의 기초’로 간주됩니다. 실제로 많은 ADHD 성향의 아동이 미술, 스토리텔링, 공학적 발상 등에서 탁월한 결과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ADHD는 ‘주의력 부족’이 아니라 ‘주의력 조절 방식의 차이’일 수 있습니다.
🔹 ADHD는 창의적인 기질일까?
모든 ADHD가 창의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특정한 조건(정서 안정, 환경 지지, 자기 효능감 등)이 충족되면, ADHD 아동은 기존 사고방식의 틀을 깨는 통찰력과 아이디어를 자주 보여줍니다.
따라서 문제행동으로만 보기보다, 이들의 ‘다르게 작동하는 두뇌’를 이해하고 활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합니다.
📚 참고 문헌
- Barkley, R. A. (2015).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 Sonuga-Barke, E. J. S. et al. (2008). “Cognitive neuroscience of ADHD.” Developmental Science.
- BBC Science Focus. “ADHD and Creativity: Why Some Minds Wander for a Reason.”
- NCBI. “Default Mode Network and ADHD in Children.” (2020)
🏷️ 추천 태그
#ADHD역사 #상상력과집중력 #뇌과학ADHD #창의성ADHD #ADHD연결성
'ADHD와 뇌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 아이 치료비 부담 얼마나 지원 받을 수 있을까? (feat. 하루라도 빨리 알아봐야 이득) (0) | 2025.04.13 |
---|---|
ADHD는 창의력의 또 다른 이름일까? (feat. 세상을 바꾼 사람들의 공통점) (0) | 2025.04.12 |
ADHD 약물치료와 아동발달센터 치료, 함께해야 하는 이유는? (feat. 수업 종류부터 예후까지 총정리) (0) | 2025.04.12 |
초등학생에게 가장 많이 처방되는 ADHD 약 Top 3 (feat. 부작용 걱정을 덜어주는 생활습관 팁) (0) | 2025.04.12 |
ADHD 약물치료, 어떤 약이 효과적일까요? (feat. 작용 기전부터 복용 시간까지)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