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HD와 뇌과학

얌전한 우리 아이, 정말 괜찮은 걸까요? (feat. 조용한 ADHD, 여자아이에게 왜 많을까?)

by 해빛의 꿀단지 2025. 4. 12.

얌전한 우리 아이

🧠 “얌전한 우리 아이, 정말 괜찮은 걸까요?”
feat. 조용한 ADHD, 여자아이에게 왜 많을까?

🟡 조용하다고 문제가 없는 건 아닙니다

학교에서 말썽 없이 얌전히 앉아 있는 아이. 하지만 선생님의 말을 자주 놓치고, 숙제를 빼먹는 모습.
“공상에 빠져 있네”, “꿈꾸는 것 같아”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속으로는 분주한 아이.
이럴 때 ‘조용한 ADHD’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조용한 ADHD란?

ADHD 하면 보통 산만하고 활동적인 아이를 떠올리지만, 주의력결핍형 ADHD (Inattentive type)는 다릅니다.

  • 멍하게 공상에 잠기는 모습
  • 자주 실수하고, 지시를 잘 못 따름
  • 과제를 미루고, 자주 잊음
  • 수업을 조용히 듣는 듯하지만 내용을 놓침

그래서 더 알아차리기 어렵고, “착하고 소극적인 성격인가 보다” 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왜 여자아이에게 많을까?

연구에 따르면 여자아이에게 조용한 ADHD가 더 흔한데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회적 기대
    “얌전한 아이가 예의 바르다”는 시선 때문에, 스스로 억제하려 합니다.
  2. 과잉행동보다는 내면의 산만함
    여자아이들은 움직임보다 머릿속 분주함이 많습니다.
  3. 감정을 숨기는 경향
    속으로는 불안하고 산만하지만 겉으로는 평온해 보입니다.

이로 인해 진단이 늦고, 자존감 저하나 학습 부진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 이런 행동, 놓치지 마세요

  • 수업을 듣는 듯하지만 내용을 잘 기억하지 못함
  • 자주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숙제를 빠뜨림
  • 과제를 계속 미루거나 마무리를 못 함
  • 집중 시간이 짧고, 실수가 잦음
  • 반복된 실패로 자신감이 낮아짐

단순한 ‘성격’이 아니라 뇌의 정보 처리 방식일 수 있습니다.

🟢 결론

조용하다고 해서 문제없는 것은 아닙니다.
속으로 분주한 아이들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조기 진단과 적절한 이해가,
아이의 자존감과 학습 태도를 바꾸는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 다음 이야기 예고

“ADHD는 어떻게 진단할까요?”
병원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고,
부모는 어떤 신호를 체크할 수 있을까요?

📌 태그: #조용한ADHD #ADHD여자아이 #주의력결핍형 #아이행동이상 #ADHD진단